맨위로가기

타임 투 리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TL(Time to Live)은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패킷의 생존 시간을 제한하고, DNS에서 자원 레코드의 캐싱 시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개념이다. IP 패킷의 TTL은 라우터를 거칠 때마다 감소하며 0이 되면 폐기되어 네트워크 순환을 방지한다. DNS의 TTL은 캐싱 서버가 레코드를 캐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며, 짧은 TTL은 주소 변경에 민감한 서비스에 유용하지만, 권한 있는 네임 서버의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 HTTP에서도 Expires 헤더와 Cache-Control 헤더를 통해 캐싱 시간을 설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터넷 구조 - 네트워크 접속 지점
    네트워크 접속 지점(NAP)은 미국에서 ISP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연결점 중 하나이며, 미국 과학재단이 지원하여 설립되었고, 현재는 공용 교환 설비를 제공하지만 인터넷 트래픽의 대부분은 NAP를 거치지 않고 처리된다.
  • 인터넷 구조 - 사물인터넷
    사물 인터넷은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통해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사물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효율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키지만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과 같은 과제도 안고 있다.
타임 투 리브
컴퓨터 네트워킹
개념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 상에서 존재할 수 있는 시간 또는 홉 수를 나타내는 값이다.
사용 목적라우팅 루프로 인한 네트워크 혼잡을 방지한다.
작동 방식패킷이 네트워크를 통과할 때마다 TTL 값이 감소하며, 0이 되면 패킷은 폐기된다.
초기값운영체제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설정되며, 일반적으로 64 또는 128이다.
관련 프로토콜IP (인터넷 프로토콜)
TCP (전송 제어 프로토콜)
DNS (도메인 이름 시스템)
추가 정보
용어홉 제한(Hop Limit) : IPv6에서 TTL 대신 사용되는 용어.
활용 예시traceroute : TTL 값을 조작하여 네트워크 경로를 추적하는 데 사용된다.
주의 사항지나치게 낮은 TTL 값은 정상적인 통신을 방해할 수 있다.
영화 정보
영화 제목타임 투 리브
원제Le Temps de vivre
감독프랑수아 오종
개봉 연도2023년
장르드라마
국가프랑스
언어프랑스어
관련 링크IMDb 영화 정보

2. IP 패킷의 TTL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TTL은 패킷이 네트워크 상에서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Unix의 traceroute 명령(Windows의 'tracert')은 TTL 필드의 기능을 이용한다.[3][4]

2. 1. TTL의 정의 및 작동 방식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TTL은 8비트 크기의 필드이다. IPv4 헤더에서 TTL은 20 옥텟 중 8번째 옥텟이며, IPv6 헤더에서는 40 옥텟 중 8번째 옥텟이다. TTL의 최댓값은 단일 옥텟의 최댓값에 해당하는 255이다. 권장되는 초기값은 64이다.[3][4]

TTL값은 IP 데이터그램이 인터넷 시스템 내에서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의 상한선으로 볼 수 있다. TTL 필드는 데이터그램의 송신자에 의해 설정되며, 목적지까지의 전송 경로에 있는 모든 라우터들에 의해 그 값이 감소된다. 목적지에 다다르기 전에 TTL 필드의 값이 0이 되면 해당 데이터그램은 폐기되고 ICMP 에러 데이터그램(11 - Time Exceeded)이 송신자에게 보내진다. TTL 필드의 목적은 전달되지 못한 데이터그램이 인터넷 시스템 내에서 지속적으로 순환하여 넘쳐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IPv4 환경에서 TTL 값의 단위는 이며, 이론적으로 이 값은 목적지까지의 경로에서 경유하게 되는 모든 호스트에서 1 이상의 양만큼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적용에서 TTL 값은 매 홉(hop)마다 1씩만 감소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IPv6에서 이 필드의 명칭은 홉 리미트(hop limit)로 변경되었다.

TTL의 몇 가지 기본값은 다음과 같다.

  • 0: 동일한 호스트로 제한
  • 1: 동일한 서브넷으로 제한
  • 32: 동일한 사이트로 제한
  • 64: 동일한 지역으로 제한
  • 128: 동일한 대륙으로 제한
  • 255: 무제한

2. 2. TTL의 목적

TTL 필드의 목적은 전달할 수 없는 데이터그램이 인터넷 시스템에서 계속 순환하여 네트워크 혼잡을 일으키는 상황을 방지하는 것이다.[3][4] TTL 값은 IP 데이터그램이 인터넷 시스템 내에서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의 상한으로, 데이터그램 송신자가 설정하며 목적지까지 경로상의 모든 라우터에 의해 감소된다. TTL 필드가 0이 되면 데이터그램은 폐기되고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오류 데이터그램 (11 - 시간 초과)이 송신자에게 전송된다.

IPv4에서 TTL은 단위로 측정되지만, 이론과 달리 실제로는 모든 홉마다 1씩 감소한다. 이러한 관행을 반영하여 IPv6에서는 이 필드를 '홉 제한'으로 변경하였다.

2. 3. TTL과 traceroute

traceroute (tracert) 명령어는 TTL 필드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경로를 추적한다.[3][4] TTL 값은 IP 데이터그램이 인터넷 시스템 내에서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의 상한을 나타내며,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에 있는 모든 라우터에서 이 값을 감소시킨다. TTL 필드 값이 0이 되면 해당 데이터그램은 폐기되고, ICMP 오류 데이터그램(11 - 시간 초과)이 송신자에게 전송된다. IPv4 환경에서 TTL은 초 단위로 측정되지만, 실제로는 각 홉(hop)마다 1씩 감소한다. IPv6에서는 이 필드를 '홉 제한'이라고 부른다.

3. DNS 레코드의 TTL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에서 TTL은 리소스 레코드의 캐싱 시간을 제어한다. 짧은 TTL은 권한 있는 네임 서버에 부하를 줄 수 있지만, MX 레코드와 같이 주소 변경에 민감한 서비스나 재해 복구 시스템 구성에 적합하다.

3. 1. DNS TTL의 작동 방식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에서 권한 있는 네임 서버는 특정 리소스 레코드에 TTL 값을 설정한다. 재귀적 캐시 네임 서버는 이 레코드를 TTL 값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캐시에 저장한다. 스터브 리졸버가 캐시 네임 서버에 동일한 레코드에 대한 질의를 보냈을 때, TTL 값이 만료되지 않았다면 캐시 네임 서버는 캐시된 정보로 바로 응답한다.

NXDOMAIN(존재하지 않는 도메인) 응답에도 TTL 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값은 일반적으로 최대 3시간 정도로 짧다.[5] NXDOMAIN 응답의 TTL은 SOA 레코드의 MINIMUM 필드와 SOA 자체의 TTL 중 최솟값으로 설정되며, 리졸버가 부정적인 응답을 캐시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TTL 값이 짧으면 권한 있는 네임 서버에 부하가 커지지만, MX 레코드와 같이 주소 변경에 민감한 서비스에 적합하다. 서비스 주소 이전 시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DNS 관리자는 관련 레코드의 TTL 값을 낮추기도 한다.

DNS에서 사용되는 TTL 값의 단위는 이다. 과거에는 86400초(24시간)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DNS 레코드 변경 시 전 세계 DNS 서버들이 최대 24시간 동안 업데이트되지 않은 이전 주소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오늘날의 새로운 DNS 방식은 재해 복구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매우 낮게 설정된 TTL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300초 TTL은 레코드가 5분 후에 만료되어 빠르게 갱신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일부 캐싱 DNS 네임 서버가 자체 TTL을 설정할 경우, 하위 DNS 서버들이 새로운 레코드를 제대로 받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와이어샤크에서 확인한 google.com을 해석하는 DNS 응답의 TTL

3. 2. DNS TTL 값의 중요성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에서 TTL(Time to Live) 값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권한 있는 네임서버는 특정 리소스 레코드의 TTL 값을 설정하고, 재귀적 캐시 네임서버는 이 값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해당 레코드를 캐시에 저장한다.[5] TTL 값이 만료되지 않았다면, 캐시 네임서버는 권한 있는 네임서버에 다시 질의를 보내지 않고 캐시된 정보를 사용하여 응답한다.

짧은 TTL 값은 상위 권한 있는 네임서버에 부하를 줄 수 있지만, 주소 변경에 민감한 서비스(예: 메일 교환 레코드)에는 적합하다. 서비스 주소가 변경되는 경우, DNS 관리자는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 레코드의 TTL 값을 낮추는 방식으로 변경 사항을 빠르게 전파한다. 반대로 긴 TTL은 네임 서버 부하를 줄이지만, 정보 갱신이 늦어질 수 있다.

TTL 값의 단위는 이며, 과거에는 86400초(24시간)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는 권한 있는 네임서버가 DNS 레코드를 변경했을 때 전 세계 DNS 서버들이 최대 24시간 동안 업데이트되지 않은 이전 주소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오늘날의 새로운 DNS 방식은 재해 복구 시스템의 일부분으로, 의도적으로 매우 낮게 설정된 TTL 값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TTL 값을 300초(5분)로 설정하면 해당 레코드는 5분 후에 만료되어 빠르게 갱신되므로, 관리자는 레코드를 제때에 수정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캐싱 DNS 네임서버가 권한 있는 레코드와 관계없이 자체 TTL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TTL이 만료된 후 하위 DNS 서버들이 새로운 레코드를 제대로 업데이트 받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3. 3. DNS TTL 값의 단위 및 일반적인 값

DNS에서 사용되는 TTL 값의 단위는 이다. 과거에는 86400초(24시간)가 일반적인 값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재해 복구 시스템의 일부분으로 의도적으로 매우 짧은 TTL 값을 설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TTL을 300초로 설정하면 해당 레코드는 5분 후에 만료되어 빠르게 갱신될 수 있다.[5]

짧은 TTL은 상위의 권한 있는 네임서버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지만, 웹 서버 또는 MX 레코드와 같이 주소 변경에 민감한 서비스에는 적합하다. 따라서 DNS 관리자는 서비스 주소가 변경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 레코드의 TTL 값을 낮추기도 한다.

4. HTTP의 TTL

HTTP 프로토콜에서도 TTL 관련 개념이 사용된다. HTTP 응답의 `Expires:` 헤더, 요청과 응답 모두의 `Cache-Control: max-age` 헤더 필드, HTTP 쿠키의 `expires` 필드 등이 응답 만료 시간을 제어한다.[1]

4. 1. HTTP 헤더와 TTL

HTTP 응답의 `Expires:` 헤더는 응답이 만료되는 정확한 날짜와 시간을 지정한다. `Cache-Control: max-age` 헤더는 요청과 응답 모두에서 응답이 유효한 시간을 초 단위로 지정한다. HTTP 쿠키의 `expires` 필드도 만료 시간을 나타낸다.[1]

5. 기타

TTL영어은 Time To Live(타임 투 리브)의 약자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유효한 기간을 나타낸다.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TTL영어은 8비트 필드이다. IPv4 헤더의 20 옥텟 중 9번째 옥텟, IPv6 헤더에서는 40 옥텟 중 8번째 옥텟이다. 최대 TTL영어 값은 255이며, 권장되는 초기 값은 64이다.[1][2]

TTL영어 값은 IP 데이터그램이 인터넷 시스템 내에서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의 상한으로 생각할 수 있다. 송신자가 설정하며, 목적지까지 경로의 모든 라우터에 의해 감소한다. 0에 도달하면 데이터그램은 폐기되고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오류 데이터그램 (11 - 시간 초과)이 송신자에게 전송된다.

IPv4에서 TTL영어은 이론적으로 초 단위로 측정되지만, 실제로는 모든 홉 (네트워킹)마다 1씩 감소한다. IPv6에서는 TTL영어 필드를 ''홉 제한''으로 변경하였다.

5. 1. 참조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TTL은 8비트 필드이다. IPv4 헤더에서 TTL은 20 옥텟 중 9번째 옥텟이다. IPv6 헤더에서는 40 옥텟 중 8번째 옥텟이다. 최대 TTL 값은 255이며, 이는 단일 옥텟의 최대 값이다. 권장되는 초기 값은 64이다.[1][2]

TTL 값은 IP 데이터그램이 인터넷 시스템 내에서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의 상한으로 생각할 수 있다. TTL 필드는 데이터그램의 송신자에 의해 설정되며,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있는 모든 라우터에 의해 감소한다. TTL 필드가 데이터그램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0에 도달하면 데이터그램은 폐기되고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ICMP) 오류 데이터그램 (11 - 시간 초과)이 송신자에게 다시 전송된다. TTL 필드의 목적은 전달할 수 없는 데이터그램이 인터넷 시스템에서 계속 순환하여 결국 그러한 "불멸자"로 인해 시스템이 압도되는 상황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론적으로 IPv4에서 TTL은 초 단위로 측정되지만, 데이터그램을 전달하는 모든 호스트는 TTL을 최소 1단위씩 줄여야 한다. 실제로 TTL 필드는 모든 홉 (네트워킹)마다 1씩 감소한다. 이러한 관행을 반영하기 위해 필드는 IPv6에서 ''홉 제한''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5. 2. TTL 초기값 목록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TTL은 8비트 필드이다. IPv4 헤더에서 TTL은 20 옥텟 중 9번째 옥텟이며, IPv6 헤더에서는 40 옥텟 중 8번째 옥텟이다. 최대 TTL 값은 255이고, 권장되는 초기 값은 64이다.[1][2]

TTL 값은 IP 데이터그램이 인터넷 시스템 내에서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의 상한으로 생각할 수 있다. TTL 필드는 데이터그램 송신자에 의해 설정되며,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있는 모든 라우터에 의해 감소된다. TTL 필드가 0에 도달하면 데이터그램은 폐기되고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오류 데이터그램 (11 - 시간 초과)이 송신자에게 전송된다.

IPv4에서 TTL은 이론적으로 초 단위로 측정되지만, 실제로는 모든 홉 (네트워킹)마다 1씩 감소한다. 데이터그램을 전달하는 모든 호스트는 TTL을 최소 1단위씩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행을 반영하여 IPv6에서는 TTL 필드를 ''홉 제한''으로 변경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Default TTL Values in TCP/IP http://www.map.meteo[...] 2013-02-19
[2] 웹사이트 IP OPTION NUMBERS https://www.iana.org[...] 2012-11-30
[3] 웹인용 Default TTL Values in TCP/IP http://www.map.meteo[...] 2013-02-19
[4] 웹인용 IP OPTION NUMBERS http://www.iana.org/[...] 2012-11-30
[5] 저널 Domain names - implementation and specification https://datatracker.[...] 198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